변수까지 만들었다면, 이제 확인을 해봐야겠죠?
일단 간단히 빈도 확인하는 것부터 볼께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ZYAmT/btss90cLJgd/IhsuJ1dkFKOStxsGFm0v91/img.png)
통계분석 - 요약, 표 및 검정 - 빈도표를 눌러줍니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Twt8/btss3LnaY0M/VWKrK3Ny0WrYIgmUdpFGL1/img.png)
'범주형 변수' 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변수를 눌러줍니다.
일단 성별로 간단히 확인해볼께요
결과를 보면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PZos/btss73OJmCk/VDdc0ANvmdLn8jmuKqTTh0/img.png)
빈도, 비율, 누적비율 순으로 나옵니다.
결측이 없는 데이터라 결측이 따로 표시되지 않는 군요
그럼 이제 생성한 변수들 중심으로 기술통계를 보면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KNOc/btssVOdJtif/aHeAhCzhUJSk3exQr6jyZ1/img.png)
통계분석 - 요약, 표 및 검정 - 기타표 - 요약통계량(간략) 눌러줍니다
다른 방식으로 보는 방법들이 있지만,
제가 보기엔 이렇게 보는게 제일 깔끔한 것 같아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tYTX/btss8jKG2C8/oW7SCPZdNsCbWmpIM3W6B0/img.png)
변수에 기술통계를 내고자 한 변수들을 모두 집어 넣습니다
4개 모두 넣어넣고 확인을 누른 다음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zOIM2/btss3Ku2DfL/CumVkrLTzbCdjHNZDjVnI1/img.png)
아래 '표시할 통계량'에 보고자 하는 값들을 정리해줍니다.
옆에 숫자를 썼는데, 저 순서대로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이렇게 넣고 나서 확인을 누르면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A1Ky/btss922J4dc/eXtEG7z4r7i1KM6ZfoRHj0/img.png)
이렇게 사례수, 평균, 표준편차, 최소, 최대, 왜도, 첨도 순으로 나옵니다
그럼 이 값들을 잘 정리해서 보고하면 되겠죠?
추가로 정규분포도 확인해볼께요
간단히 직관적으로 보는 방법은 히스토그램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fssyB/btss3YGWwEx/bi4Y0eGkzemRhtFOQzNyKK/img.png)
그래프- 히스토그램을 눌러줍니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fCzdn/btssVILoCCl/B7FwoaWZOBTkkolSltcQQ0/img.png)
보고자 하는 변수를 하나 클릭하고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R1sI/btssVUryvJm/KaIHya2Oi7L6UsK9x1kH9k/img.png)
'밀도 그래프'탭에서 '정규밀도 그래프 추가'를 클릭해줍니다
그리고 확인을 누르면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rYkc3/btss9hTnnw9/VGskRk4QLkpUuHfbU3ut3k/img.png)
이런 그래프 창이 활성화되면서 정규성을 확인할 수 있게 보여줍니다
이걸 따로 JPG나 PNG로 저장이 좋겠죠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Pjf7/btssTsCxzJR/m6Fy6Ll90zziULZjMpk7y1/img.png)
저 위에 플로피디스크 아이콘을 눌러줍니다
(요새 젊은이들은 저장 단추가 왜 저 모냥이라면서 뭐라 한다던데
써본적도 없으니 저게 무슨 저장장치냐고..ㅋㅋ)
그 다음 필요한 형식에 맞게 저장하면 끝~!
*참고로 이렇게 클릭하면서 만드는게 편한 사람이 있고
명령문 작성이 편한 사람이 있을텐데,
아무래도 명령문을 작성해서 저장해두면, 언제든지 비교적 빠르게 결과를 볼 수 있을테니까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aXrLF/btssT49kWUn/valDTvSePSugHLMZ9Y5IB1/img.png)
저 아이콘을 누르면, 명령문 파일인 'do.file'창이 생성됩니다
여기에 명령문을 써주면 되는데요,
혹시 눈치 채셨다면, 아이콘을 실행할 때마다
명령문이 저 기본 화면에 작성되고 있었습니다.
그 명령문들을 복사 붙여넣기 하면 쉽게 저장할 수 있겠죠?
명령문 작성한 다음
블록 처리하고, 실행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
간단한 예시로 'clear' 명령어를 보면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341tn/btssVMNLX75/dnY6i2p5Dt0gDBK7Y4iyV0/img.png)
여지껏 분석한 것들이 한 방에 날라가버렸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마치.. 한화 이글스의 주자들이 병살로 사라지는 것마냥..
그리고 '*'로 명령어를 시작하면, 단순히 메모의 기능이며
실제 명령문 실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.
또 해당 명령문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
help clear 이런식으로 작성해서 실행하면 됩니다.
명령문 깔끔하게 정리하고 가지고 계시면, 나중에
그 명령문 기반으로 쉽게 쉽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을 겁니다 ㅎㅋㅋㅋ
'교육통계 > STAT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분산분석 3. 일원분산분석 (0) | 2023.09.04 |
---|---|
STATA - 5.다중회귀 (0) | 2023.09.04 |
STATA - 4.상관 & 단순회귀 (0) | 2023.09.04 |
STATA- 2. 변수 만들기 (0) | 2023.09.04 |
STATA 1. 파일 불러오기 (0) | 2023.09.04 |